질환백과
- 정의
- 설인신경통은 12개의 뇌신경 중 9번째 신경인 설인신경이 분포하는 부위(편도선, 인두, 혀 뒤쪽)에 격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. 설인신경은 혀와 인두의 감각을 담당합니다. 대부분 40~60대에서 많이 나타납니다. 
- 원인
- 설인신경통의 원인은 삼차신경통과 마찬가지로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다만 대부분 심인성으로 발생합니다. 뇌 속에서 설인신경과 뇌혈관이 들러붙어서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 드물게는 뇌종양이 설인신경을 눌러서도 발생하기도 합니다. 또한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게도 드물게 발견됩니다. 그 이외에 경부의 창상, 혈관 기형, 경돌설골인대의 골화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. 
- 증상
- 설인신경통의 통증 강도 및 지속 시간은 환자에 따라 다릅니다. 주로 귀 쪽보다는 편도와 혀의 뒤쪽 1/3 부위에서 잘 발생합니다. 가끔 귀, 하악부, 목에 동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. 대부분의 통증은 음식을 삼키거나 침을 삼킬 때, 하품할 때, 입에 물을 넣고 가글할 때, 씹거나 말할 때, 재채기나 기침할 때 유발됩니다. 그러나 삼차신경통처럼 통증 유발점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 설인신경통 환자의 약 10%는 증상이 지속되는 동안 부교감신경의 기능 항진이 심하여 서맥, 부정맥, 저혈압, 실신, 간질 발작, 심정지 등으로 생명을 위협받을 수도 있습니다. 그렇지만 대부분 통증이 지속되지는 않고, 호전되었다가 다시 나타나곤 합니다.  
- 진단
- 전형적인 설인신경통은 증상만으로도 진단할 수 있습니다. 편도에 국소마취제를 도포하여 통증이 소실되는 것을 관찰하여 진단을 내리기도 합니다. 
- 치료
- 설인신경통의 치료에는 약물 요법과 신경 파괴술, 수술 요법이 있습니다. - 1. 약물 요법 
 설인신경통은 너무나 격심한 통증을 동반하기 때문에, 보통 진통제만으로는 가라앉지 않습니다. 드물기는 하지만 뇌전증 발작을 막아 주는 항경련제를 사용하면 통증이 가라앉는 경우도 있습니다.- 2. 신경 파괴술 
 삼차신경통 환자에게 신경 파괴술을 시행하면 2~3분의 간단한 시술만으로 통증을 없앨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설인신경통 환자의 경우 신경 파괴술의 성공률이 낮고, 심혈관계나 후두의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 거의 시행하지 않습니다.- 3. 수술 요법 
 혈관과 설인 신경이 붙어 있는 경우, 이 두 가지를 분리하는 뇌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. 수술을 통해 신경을 절단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
- 신경계
- 서울아산병원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














